매수 매도 규칙


원칙은 바뀔 수 있음이 원칙이다.

Introduction

성장하는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통화량의 상승과 통화가치의 하락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따라서 현금을 갖고 있기보다 현물 자산으로 바꾸어 갖고 있는 것이 현명한데, 기업의 가치를 반영하는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은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항상 같이 존재하는 주식시장에서, 누군가가 수익을 얻는다면 동시에 누군가는 손실을 입기 마련이고, 기업 가치에 대한 정보의 열위에 있는 일반투자자는 후자에 속할 확률이 높다. 특히 이익을 확정짓고 싶어하고 손실을 기피하는 사람의 심리는 예측 가능하기에 감정적인 일반투자자는 더욱 세력의 이익실현에 휘둘리기 쉽다. 매수와 매도의 기준이 명확해야 하는 이유이다.

조금 더 개인적인 이야기를 해보자면, 나에게는 지금 순간의 나의 행복이 꽤 중요한 가치이다. 차트의 단기적 오르내림에 나의 행복도가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는 ‘내가 맞게 투자하고 있다.’는 믿음이 있어야 하더라. 믿음의 영역에 정답은 없고 죽기 전까지 주식이 떨어지기만 하더라도 언젠간 오른다는 믿음이 있다면 행복하기야 하겠지만… 그래도 이왕이면 믿는대로 이루어지면 더 좋으니 시장의 원리를 바탕으로 나의 매수, 매도 규칙을 정하고자 한다.

1. 매수


  • 대상
    1. 내가 관심이 있고, 장기적인 상승의 근거가 명확한 분야의 회사
    2. 단기적인 이벤트로 주가 상승이 예측되는 회사 (다만 높은 비중으로 투자하지는 말자)
      • 임상 승인
      • 관세 / 정책의 변화
      • 단기적이고 비합리적인 하락 (다시 오를 것이 확실할 때)
  • 방식

    상승 추세의 눌림목일 때 구매

    1. 상승 추세는 binary wave 7개 지표로 기계적으로 판단
    2. 최근 급격한 상승이 이미 이루어졌다면, 관심을 갖되 당장 매입하지는 말자


2.매도


  • 대상
    1. 상승추세가 깨진 경우
    2. 급격한 상승으로 조정이 예상될 때 혹은 너무 매력적인 다른 종목이 생겼을 때
  • 방식
    1. 7개 지표 중 2개 이상 깨졌을 경우 : 전량 분할 매도
    2. 7개 지표 중 1개가 깨졌을 경우 : 절반 분할 매도


3.분배


  • 현금은 10% 보유
  • 안정적인 기업 / 도전적인 기업에 분산투자하고자 한다. 투자에 조금 더 경험과 확신이 생기면, 가치가 확실한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방식으로 바꾸어나가야겠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