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목적
원칙은 바뀔 수 있음이 원칙이다.
Introduction
자산을 갖고 있는 한, 투자는 필연적이다.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예금에 나의 돈을 넣어둔다면, 이 또한 한국의 원화라는 가치에 돈을 투자하고 있는 셈이다. 투자에 대한 고민의 과정을 정리한다.
1. 투자의 목적
무엇이든, 잘하기 위해서는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투자 역시 마찬가지이다.
단기투자를 잘하기 위해서는 미시적인 사람의 심리와 단기적인 이벤트, 차트의 흐름을 공부하고 살펴야 한다.
장기투자를 잘하기 위해서는 거시적인 세상의 흐름을 예민하게 살펴야 한다.
인생은 짧고 젊음은 더 짧기에, 지금 시기의 나의 노력과 시간을 어디에 얼마나 배분해야 할지 고민할 필요가 있었고
고민의 결론은, 20대 초반에서 중반을 향하고 있는 지금 시점에는, 세상의 가치를 살피기보다 나의 가치를 키우는 데에 집중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지금 나의 투자의 목적은, 최소한의 노력을 들여 적어도 나의 가치를 키우는 것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자산을 운용하는 데에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공부하는 와중 먹고 싶은 것을 먹고, 가끔 놀러가고 싶을 때 갈 수 있고, 소중한 주변 사람들을 챙길 수 있을 정도로 현명하게 자산을 관리하는 것이 목표이다.
타인이 실현할 가치를 예측하고 투자하여 10억을 만드는 것보다,
나의 잠재력을 키워, 내가 실현하는 가치에 투자자가 10억을 아깝지 않게 지불하게 만드는 것이
적어도 내 인생에 있어서는 내가 나아가고 싶은 방향이다.
2.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그래서 가만히 있겠다는 것이냐, 그럴 수는 없다.
권력자가 돈을 찍어낼 수 있는 사회구조 상 현금은 가치 하락이 예견된 자산이다. 투자를 달리기에 비유한다면, 속도에서의 완급조절은 자유이지만 올바른 방향 설정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래는 내가 고민한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에 대한 나의 방향성이다.
- 자산의 가치는 사람들의 기대를 반영한다. ‘사람들이 곧 기대할, 그러나 지금은 저평가된’ 가치 있는 기업을 찾는다. 그러나 기업을 찾는 데에 있어서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 1.에서 찾은 후보에 대해서 기술적 분석으로 매수/매도 시점을 정한다. 그러나 정확한 타이밍을 예측하려 하기보다, 추세를 확인하고 분할매매한다. 구체적으로, 상승추세의 눌림목에서 매수하고, 하락추세에 진입했을 때 매도한다.
-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데에 시간적, 감정적 소모를 최소화한다.
- 장이 열리는 시각에 오르고 내리는 차트를 들여다보지 않는다. 후보 기업과 주가의 추세를 가시화하여, 정한 시점에 확인한다.
- 차트의 오르내림에 감정을 소모하지 않고 정한 규칙에 따라 매수, 매도한다.
댓글남기기